취임 첫해 대북외교 중요성 강조했지만 성과 못 거둬

취임 첫 해를 맞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대북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여러 시도를 했지만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고 전문가들이 평가했다. 전통적인 외교 방식을 고집하는 특징이 뚜렷한 가운데 북한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크게 떨어졌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미국의 소리’ 방송(VOA)은 미국의 전문가들이 올해 바이든 행정부 대북 정책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로 전임 트럼프 행정부와의 차별성을 꼽았다고 전했다.
조셉 디트라니 전 6자회담 미국 측 차석 대표는 27일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두 대통령이 이보다 더 다를 수 없었다면서 전통 외교로 복귀하려는 조 바이든 대통령과 거래와 성공 달성을 원했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사이에 정책 간극이 컸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이전부터 북한에 대한 접근법이 전임 행정부에서 보였던 톱다운 방식이 아닐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실무 차원에서 대화를 시작하자는 제안을 공개적으로 표방했다.
VOA는 또 전문가들은 바이든 행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에 비해 북한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사실도 주요 차이점으로 지목했다고 밝혔다. 대통령까지 나서서 북한 문제 해결을 공언하고 실제 정상회담까지 했던 트럼프 행정부와 달리 바이든 행정부에서는 전반적으로 북한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트럼프 전 대통령은 트위터와 언론 인터뷰 각종 연설 등에서 북한을 자주 언급했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북한 문제를 언급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VOA에 따르면 미국의 전문가들은 바이든 행정부가 취임 초기만 하더라도 북한 문제 해결에 대한 시급성이 있었지만 정책을 시행한다는 관점에선 그런 절박감을 반영할 효과적인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중국과 러시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등 국내외적으로 집중해야 할 사안이 많은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북한 문제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관심도는 낮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