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정부가 23일 줄리 터너(Julie Turner) 전 국가안보회의(NSC)국장이자 현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국 동아시아태평양 담당을 북한인권특사로 지명했다.
백악관은 터너 지명자가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국에 16년 이상 근무하면서 북한인권특사실 특별보좌관을 비롯해 북한의 인권 증진과 관련 있는 사안에 주로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국무부에서 인턴으로 공직 생황을 시작한 터너 지명자는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주 말리부에 소재한 페퍼다인대학을 나왔고 워싱턴DC 인근 메릴랜드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백악관은 터너 지명자가 한국어와 프랑스어를 구사한다고 전하고 인준요청서를 상원에 보냈다고 덧붙였다.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2004년 제정된 '북한인권법'에 따라 신설된 대사급 직책으로 북한 인권정책 수립과 집행 전반에 관여하는 대사급으로 상원 인준 절차를 거쳐야 한다.
초대 북한인권특사로는 2005년 8월 제이 레프코위츠 전 백악관 국내정책 부보좌관이 임명됐으며 이어 로버트 킹 전 미 하원 외교위 국장이 2009년부터 2017년 1월까지 7년여 간 2대 특사로 재임했다.
이들은 개성공단 노동자의 임금과 노동환경에 의문을 제기하고 북핵 6자회담과 인권문제의 연계를 주장하는 등 북한 인권상황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후 인권특사는 북한과 관계를 고려한 트럼프 행정부 이후 약 6년 간 임명을 미뤄왔으며 공백기간동안 미국 정치권과 인권단체는 조속한 임명을 촉구해왔다.
저작권자 © 남북경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